Contact    
한국외교사연구회 2017년 3월 정례모임
 

2017-03-18 

한국외교사연구회 20173월 정례모임

 

 

일시: 2016.3.18.() 3:30~6:00 pm

장소: 한국고등교육재단 지하2층 세미나실

 

 

1. 독회자료 및 발제

 

1) 이헌미 발제

계승범, 2008, “조선 특사의 後金 방문과 明秩序의 균열, 『한중관계 2000: 동행과 공유의 역사』, 소나무.

계승범, 2011, “鄕通事 河世國과 조선의 선택,” 『만주연구』 11, 만주학회.

2) 손병권 발제

李仁榮, 1939, “申忠一의 建州紀程圖記에 對하야,” 『震檀學報』10.

장정수, 2016, “16세기 말~17세기 초 朝鮮과 建州女眞의 배후 교섭과 申忠一의 역할,” 『한국인물사연구』, (25).

 

 

2. 토론 내용 정리

 

n  조선-후금 관계의 앞쪽 시기에 초점 맞추는 이유는?

-        뒤쪽 시기는 상대적으로 선행연구가 많으며, 한명기 선생의 <광해군>에 드러난 선조 시기의 접근법에 주목

-        왜와 싸우고 있던 임진왜란 당시에도 북방 국경상황에도 동시 대처하고 사신도 교류함. 임진왜란 전까지 조선이 느낀 주 위협은 일본이 아니라 북방으로, 이순신도 녹둔도에 부임해 있었음. 조선의 주력부대가 거의 북쪽에 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이 처음에 남쪽으로 침공했을 때는 강세였다가 북으로 올라올수록 약화됨

 

n  누르하치는 대전략(grand plan)이 있었나? 변방민족이 왜 세력확장을 넘어 명을 치려고 했는가?

-        임진왜란(~1894)과 정유재란(1896~) 사이를 노려 원군을 요청하는 등 당시 형세에 대한 인식이 있었던 듯. 1895년이 누르하치가 최초로 자신감을 얻은 시기

-        패턴이 왜와 비슷함: 내부를 통일한 후에 명나라가 약해진 틈을 타서 우선 조선과 외교를 맺어 놓고 최종적으로는 명을 쳐서 동아시아를 평정하려는 계획

-        130년전 조명연합군이 건주위를 정벌하여 조선-여진 관계가 끊어지고 초기 조선이 여진 정벌에 나섬. 여진이 정벌에 나서기 전에 조선-명의 중화체제가 여진을 압박해온 역사가 있음

 

n  어떻게 기존 연구와 다르게 쓸 것인가?

-        누르하치의 관점에서 연구

-        결국은 사학자가 아닌 국제정치학자가 쓰는 글. 초보적으로는 세력전이 이론으로 설명 가능함. 기득권 대 도전세력의 싸움에 조선이 끼어있는 모양새 (*모델스키). 서양보다 예치적인 요소가 있는 동양의 국제정치 환경에서 세력전이 상황의 행위자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?

-        실증사학적인 연구들에 더해 단순한 도식을 넘어선 이론적인 분석틀 제공

-        한문과 만주어 사료를 살펴볼 필요성 (채삼사건의 진상 등)

 

n  국가발달 단계를 어느 정도 보편화시킬 수 있다면, 당시 여진은 우리의 삼국통일과 같은 시기를 거치고 있었다고 볼 수도 있음

-        여진은 한 덩어리가 아닌 건주여진, 해서여진, 동해여진 등으로 나누어짐. 이성계 등이 접촉한 우리에게 가까운 여진은 동해여진이며, 건주여진은 몽골쪽에 좀 가까움. 여진 분파끼리도 서로에 대해 문명-오랑캐의 의식이 있었음

 

n  청이 명을 압도한 것은 세()가 변한 것. 과거 요나라가 힘만큼의 대우를 받지 못했던 것에 비하면, 청에 복속한 뒤에도 숭명멸청이 계속된 것은 매우 의()의 국제정치. 어떻게 명분이 이렇게 강할 수 있나?

-        조선과 중화의 정체성을 공유한 중국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 + 후금 자체에 대한 거부감

-        명청 모두 내부국가적으로는 취약한 구조였나? 최근 중국이 미국에 대해 객관적 국력에 비해 떨어진 정치력을 말함

-        원나라 등의 선례에 대해 조선과 누르하치는 얼마나 알고 있었나? 당시 명의 성립을 보면서 조선 초부터 이게 정상으로 인식했을 가능성. 우리는 과거 세력전이/bipolarity의 외교를 안 해온 것이 아닌데 왜 교훈을 충분히 얻지 못했는가?

-        양호 등 동부전선의 명나라 장수들은 임진왜란 때부터 와서 조선과 함께 싸운 사람들이었음. ,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명-조선이 특히 군사전략/안보인식 측면에서 일체화되었을 가능성

 

* 이민환, <책중일록> (서해문집, 2014) – 이인영 논문에서 다루는 <건주기정도기>의 국역 포함

* Pamela Kyle Crossley, The Manchus (번역본: <만주족의 역사> (돌배게, 2013)) – <건주기정도기> 인용, 건주여진 초기 역사 포함

* 천제셴(陳捷先/진첩선), <누르하치> (돌배게, 2015)

 

 

   
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