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act    
한국외교사연구회 12월 정례모임
 

2016-12-17 

한국외교사연구회 201612월 정례모임

 

일시: 2016.12.17.() 3:30~6:00 pm

장소: 한국고등교육재단 18층 회의실

 

1. 독회자료 및 발제

1) 전재성 발제: 고려시대 전기

-         육정임, 고려-거란 '30년 전쟁'과 동아시아 국제질서, 동북아역사논총 34, 2011.12, 11-52

-         이승민, 10~12세기 하생신사 파견과 고려-거란 관계, 역사와 현실 89, 2013.9, 77-111

-         최덕환, 993년 고려-거란 갈등 및 여진 문제, 역사와 현실 85, 2012.9, 259-303

2) 하영선 발제: 고려시대 중기

-         Remco E. Breuker, Koryo as an Independent Realm: The Emperor's Clothes?, Korean Studies, Vol.27, 2003, 48-84

-         노명호, 고려시대의 다원적 천자관과 해동천자, 한국사연구 105, 1999.6, pp.3-40

3) 김준석 발제: 고려시대 후기

-         남의현, 원말명초 조선-명의 요동쟁탈전과 국경분쟁 고찰, 한일관계사연구 42, 2012, 81-114.

-         도현철, 고려말기 사대부의 대외관 - 화이론을 중심으로 진단학보 86, 1998, 73-99

-         안정희, 조선초기의 사대론, 역사교육 64, 1997, 1-33

보조 텍스트

-         장동익, <고려후기 외교사연구>

-         계승범, <중종의 시대: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> 3, 4

 

2. 토론 내용 정리

 

1) 전재성 발제 후 토론: 고려시대 전기

 

n  발제에서 여진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지적했듯, 명청교체기의 --청관계처럼 한반도 왕조와 중원 왕조 간 관계에서 제3자에 대한 고려가 항상 개입됨을 알 수 있음. 신욱희 선생의 삼각구도가 유효함. 완충정권, 다자관계의 존재여부도 중요함. 단극/양극구도를 비판하는 새로운 구도를 그려볼 수 있음

-         예를 들어 이를 전쟁의 빈발성과 연결, 단극/양극/다극체제가 변화하는 시점에 전쟁이 많이 발발하는지, 왈츠적 양극체제의 안정성이 동아시아에서는 정반대로 드러나는지 확인할 수 있음

-         기술적 한계, 보급의 한계 때문에 전쟁이 종결되는 측면 완충정권의 존재여부와도 연결됨

 

n  510국 시대가 계속되면서 예에 기반한 세계질서 인식이 약화되었을 것인데, ‘송과 잘지내야 한다는 인식이 얼마나 강했을지? 조명관계에 비하면 고려사람들은 명분에 얽매이기보다 비교적 현실적이었던 것으로 보임

 

n  이 시기가 타 시기에 비해 특징적인 점은 위계(hierarchy)보다 세력균형(balance of power)이 가능했던 시기라는 점. 이에 기반한 당대인들의 전략적 사고는 어땠을까?

-         세력균형이나 anarchy적 상황이 간헐적으로 드러나기는 하지만, 세력균형을 실행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각 행위자가 기회를 이용하지 않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음. , ‘embed된 전체 흐름은 위계라는 의식은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임. 예를 들어 고려가 송에 미안함을 느끼면서도 파병하지 않았듯이

-         당대 사람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1차자료 연구가 필요함

 

n  연구 주제/사례: 여송단교 시기 거란에 조빙하게 되는 전쟁, 서희 포함

-        지금까지 서희에 관해 국제정치학 측면에서 쓰여진 기존 논문이 많지 않음 (*김기홍, «서희, 협상을 말하다»

 

2) 하영선 발제 후 토론: 고려시대 중기

 

n  우리 책 전체의 메시지는 역사상 한반도인의 생존전략’, ‘중진국 외교의 역사적 연원등으로 방향을 잡을 수 있음

 

n  연구 주제/사례: 려송복교의 국제정치학

-         거란 때문에 고려-송이 단교(1031)했다가 복교하게 되는 고려 문종의 선택 (1071)

-         40년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? 단교와 복교 사이 당시 고려의 이중적인 내면세계 및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파헤칠 것

-         소동파의 상소문 중 <고려오해론>(1093) 또한 1071년 려송복교와 밀접한 관련

 

n  당시 당나라의 기본 기조는 연여제요(고려와 손잡고 요를 견제)’였으나 내부에서는 소동파(구법파) vs 왕안석(신법파)이 대립하고 있었음. , 당대의 액터들이 실제로 다양하게 행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의 국제질서를 Waltzian 적으로만 해석할 수는 없음

 

n  이 시기의 위계hierarchy’라는 것을 조선시대의 화이적 천하관까지 연결되는 규범/이념으로 보아야하는가, 국가들 간의 평형으로 보아야 하는가?

 

n  본 작업의 국제정치학적인 포인트는 정확히 무엇인가?

-         인식과 행태 사이의 괴리 (: 화이론적 천하관에 다원적 외교행태)

-         이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지표를 포함한 사료를 파악해야 함

-         사학계가 주로 주목하는 대상은 호칭,의상,천하관 등 표피적,자기선언인 측면이 있으며 (우리가 볼 것은 책봉 칭호 등 좀더 상호적인 지표), 당시 정세 속에서 고려의 생존전략 등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은 듯 (*Peter Yun: 역사학자가 국제정치학 이론을 도입, Wallerstein의 세계체제론으로 11세기 고려 해석)

-         반면 현재 미국의 국제정치학 보다는 복잡한 프레임이 요구됨

-         우리는 IR적 논의를 가져가야 할 것도 있지만 일정 부분은 버려야 할 것. 사료분석을 통해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?

 

3) 김준석 발제 후 토론: 고려시대 후기

 

n  연구 주제/사례: --고려/조선 간의 각축, 고려/조선의 요동진출

 

n  이 시기는 로사비나 페어뱅크의 프레임이 아닌 제국 내의 통치로 해석되어야 함. 고려-몽골 관계는 몽골제국 전체 관점에서 보아야한다는 것이 현 학계의 흐름임

 

n  몽골 제국과 고려

-         몽골 제국 내에서 고려의 특별한 지위

-         형세론적 화이론종족론적 화이론’, 힘에 따른 사대한족에 대한 사대의 틀로 연구해볼 수 있음. 명나라가 건국하자마자 공민왕이 기다렸다는 듯이 명과 손을 잡았는데, ‘여명개교를 사례로 설정할 수 있음

-         우리 역사에서 몽골 간섭/지배기처럼 외세가 깊숙히 들어온 사례가 없었음에도 끝난 뒤에 우리의 개체성은 그대로 살아남았다는 점. 일제강점기 때에도 일본 지배가 1-200년은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들이 있었는데, 고려시대에 원의 지배에 대한 내부적 고민은?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의견은 없었나?

-         왜 원나라만 기미 등의 정책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지배를 했는가? 왜 중국 본토 역시 직접 지배를 했음에도 가장 한화(漢化)되지 않은 이민족 왕조가 되었는가?

-         원 제국의 성격에 대한 영미권의 논의를 참고해볼 필요

-         *‘’ vs ‘몽골명칭의 문제: 전자는 한족 왕조 계보에 편입되는 명칭. ‘몽골의 역사는 훨씬 길다

 

n  요동진출문제는 고려 초기와 조선 초기에 반복되는 고민임. 삼국통일 때 당나라가 고구려 고토에 대한 직접 지배를 시도하자 신라가 나당전쟁을 시작했음. 고려-조선의 분기점이 되는 위화도회군 사건, 정도전의 요동정벌론과도 연결됨.

-         한국이 아닌 국가들과의 북방국경은 어디였던 것인가?

-         원나라 시기 요동지역의 다른 왕조나 단위는 무엇이 있었는가?

 

n  고려 초기와 조선 초기에 유학과 사대부의 역할을 비교

 

n  일본 학계에서는 고려가 원과 함께 일본 침략을 시도했던 사례를 많이 다루고 있음. 우리 역사 상에서는 많이 기억되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임진왜란 때나 19세기 정한론 대두 당시에 명분으로 언급될 정도

 


   

list